신뢰할 수 없는 청사진만 제시
김영록 도지사의 협상 제안에 범대위 “협상 이유 없다” 일축
광주 전투비행장 무안 이전 반대 범군민대책위원회(이하 범대위)가 16일 회의를 갖고 15일 방영된 김영록 도지사의 특별대담 내용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MBC 특별대담 ‘공항의 미래, 도민이 묻고 전남도지사가 답한다’에는 김영록 도지사와 전남 22개 시군 사회단체 대표가 참여해 진행됐다.
범대위 측에서는 대담 내용을 보면 무안군민을 남악과 그 외 지역으로 갈라치기하고 있으며, 확정되지도 않은 황금빛 청사진으로 군민을 현혹하려 하지만, 이를 믿을 군민들이 누가 있을지 궁금하다며 도지사의 일방통행식 대담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먼저, 광주시가 군 공항을 이전하려는 가장 큰 이유가 전투기 소음 피해 해소인데도, “전투기 소음 피해가 소문처럼 그리 크지 않고 일정 정도의 전투기 소음은 인내할 수준이다”는 논리에 대해서는, “그러면 광주시에서 소음피해 해소를 위해 군 공항을 이전할 이유가 없다”며 “그대로 두는 것이 지역간 갈등과 분열을 예방하는 길이다”고 반박했다.
두 번째, 확정할 수도 없는 MRO국가산단과 AI농생명밸리 사업을 통해 1만 5천 명에서 2만 명을 수용하는 소형신도시를 건설한다면서 “왜 무안군에서 자체 추진하는 K-푸드융복합산업단지는 가로막고, 도청 조직도 쪼개 동부권으로 이전하여 남악신도시 활성화에 찬물을 끼얹는지 모르겠다”며 말과 행동이 모순되는 제안이라고 평가절하했다.
세 번째, 무안국제공항 활성화를 위해서는 광주 국내선이 이전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교통이 발달하면 국내선 수요가 한계가 있어 공항활성화에 크게 도움이 안 된다. 군산공항은 서해안고속도로가 개통되어 아시아나항공 등이 철수한 적도 있고, 예천공항은 공항이 폐쇄되었다”며 KTX가 무안공항과 연계되면 국내선 이전이 활성화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또한, 김영록 도지사 본인도 광주시에서 민간공항을 빨리 보내겠다고 약속해야한다고 말하는 것은 광주시에서는 민간공항 이전에 의지가 없다는 것을 직접 암시해준 것이라며 “국가계획과 협약도 무시하고 무안국제공항 활성화는 뒷전인데 뭘 믿으라는 것인지 모르겠다”며 광주시 대신 전남도가 전방에 나서는 것을 비난했다.
박문재 상임공동위원장은 전남도에서는 서남권발전과 무안국제공항 활성화를 위해 민간공항 때문에 군 공항을 수용해야 한다고 협상테이블에 나와서 의견을 제시하라고 하지만 “지역적 특수성을 감안해 무안군민은 광주 군 공항 무안 이전 반대 의사를 끊임없이 밝혀왔다”며, “협상이란 게 상대가 받으려는 의지와 타협점이 있어야 하는데 무안군민들은 지금 이대로 자체적인 노력과 청정자연을 지키고 살아가고자 하는 일념뿐이다”며, “바라는 게 없는데 협상테이블을 언급하는 것 자체가 웃기는 이야기다”고 협상이란 말 자체를 일축하며, 원하는 곳으로 이전하도록 생각을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범대위에서는 앞으로 광주 군 공항 무안 이전 저지를 위해 태풍으로 중단되었던 도청 앞 천막 시위와 지역별 맞춤형 시위 등을 이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